관련된 몇 가지 자료를 소개를 해드렸는데 이번엔
그런 자잘한(?) 악기들에 머물지 않고 실제로 연주를 하기 위해선
많은 비용과 시간, 그리고 장비와 그에 따른 인력이 필요한
악기들을 소개를 해드리고 VSTi가 경쟁력이 있을 수 밖에
없는 이유를 단적으로 보여드리겠습니다.
음악하면 일단 엄청난 범주의 단어이니만큼 세분화된
분류를 나눌 수 있겠습니다만 일단 장르만으로 나눠보자면
발라드, 댄스, 락, 메탈, 힙합 등, 이외에도 수 많은 장르가 있겠죠
하지만 그 중에 영화의 사운드 트랙을 꼽을 수가 있는데
영화의 OST하면 또 빼놓을 수 없는 게 바로 대편성의 오케스트라입니다.
가요에서 사용했다고 자랑스러워하며 앨범의 표지에
적어놓는 48인조 오케스트라 따위와는 비교가 되지 않는
그야말로 대편성의 오케스트라 사운드가 VSTi화가 많이 되어져 있고
또 요즘은 실제로 한스 짐머를 포함한 많은 뮤지션들이 오케스트라 VSTi를 사용하여 영화의 OST에
참여하고 있습니다.
또한 아주 많은 오케스트라 VSTi가 개발이 되어 있고 또 현재 판매가 되고 있는데
그 중에 최고로 인정을 받고 있는 Vienna Symphonic Instrument社의 VSL Instruments를 이용한
데모곡을 준비했습니다.
이 곡에 사용된 편성은
2 Piccolo flutes 2 Flutes 3 Oboes English horn Clarinet in Eb 2 Clarinets in Bb Bass clarinet 3 Bassoons Contra bassoon |
4 Horns 3 Trumpets 3 Trombones Tuba |
Timpani Triangle Tambourine Cymbals sus. Bass drum Tam tam |
Glockenspiel Xylophone Celeste 3 Harps |
1st violins 2nd violins Violas Cellos Double basses |
이렇게 실제 오케스트라와 똑같습니다. 그런데 편성만 같으냐?
솔직히 이게 어딜 봐서.. 아니지, 어딜 들어서 VSTi로 만든 곡이라고 생각하겠습니까.
제가 그냥 VSTi로 만든 데모곡이라고 하니까 VSTi인 줄 알지 '실제 오케스트라야.'라고 했으면
실제 오케스트라가 연주한 거랑 다를 게 없습니다.
다만 문제가 있다면 VSL의 경우엔 사람이 오케스트라 상에서 연주할 수 있는 많은 주법을 샘플링 했기 때문에
그 용량이 엄청나다는 것이지요.
모든 섹션과 주법을 설치하려면 대략 500GB 이상의 하드디스크를 요구합니다만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
주법만 골라서 설치를 할 수 있습니다. 그래도 한 200여 GB 정도가 필요하지만.. -_-;;
그리고 가격도 상당히 비쌉니다만 역시나 골라서 구입을 할 수 있으며 또, 실제 오케스트라를 운영하는 것보다는
훨씬 저렴한 비용이죠.
꼭 VSL 말고도 다른 오케스트라에 관련된 VSTi는 많습니다.
VSL의 오케스트라 다음으로 East West Quantum Leap Symphonic Orchestra가 유명한데 이 VSTi의 퀄리티와
퍼포먼스도 VSL의 그것에 못지 않습니다.
그럼 오케스트라에서 끝이냐?
여기서 끝나면 이 포스트를 시작한 의미가 없죠.
오히려 오케스트라보다 더 충격적인 VSTi라고 할 수 있는데 바로 합창단을 VSTi화 시켜놓은 녀석이 있습니다.
EWQL에서 만든 Symphonic Choirs라는 것인데 단순히 이렇게 반문하실 수도 있겠죠.
'사람 노래하는 것도 그냥 샘플링해서 만들면 되는 걸 뭐가 그리 대단하냐?'라고.
그런데 문제는 합창단이 바로 사람이라는 것입니다.
'아~'나 '우~'같은 단순한 한 가지의 소리나 발음으로 노래를 한다면 그건 재미가 없지요.
이 VSTi가 대단하다는 것이 이런 사람의 여러 발음까지 조합이 가능합니다.
다만 영어와 관련된 발음은 상당히 자연스러우나 그걸 조합해서 한국어처럼 만들면 어색하기 짝이 없다는 게
문제라면 문제겠지요. -_-;;
준비한 데모송을 들어보세요.
어떻게 마음에 좀 드시나요?
실제 합창단 불러서 녹음한 곡 올려놓고 '이거 VSTi야.'라고 뻥치는 거 아닙니다. -_-
게다가 뒤에 깔리는 배경의 오케스트라는 바로 위에서 소개해드렸던 EWQL의 오케스트라 VSTi입니다.
이번엔 다른 음색으로 만들어진 합창단 데모송도 한 번 들어보세요.
심포닉 오케스트라 VSTi와 심포닉 콰이어 VSTi는 실제 국내에서도 아주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.
온라인 게임 OST를 들으시다가 합창단 소리 나오는 거 들리시면 거의 100% 심포닉 콰이어로 만들어진
곡이라고 생각하시면 틀리지 않습니다. -_-;;
이래도 가상악기는 그냥 가상악기야..라고 무시할 수가 있을까요?
가상악기는 더 이상 단순한 샘플링의 수준이 아닙니다.
전에도 소개드렸듯 이미 웬만한 악기들은 실제 악기와 다를 바 없는 수준의 주법 구현과
퀄리티를 보장하고 있으며 단점보다는 장점이 훨씬 많습니다.
게다가 컴퓨터만 있으면 사용할 수 있다는 것과 실제 악기에 비해 접근성이 높다는 것은
그 어떤 장점보다도 뛰어난 장점입니다.
이렇게 말씀을 드려도
"가상악기는 가상 악기야."라고 무시하실 분이 또 분명 있을 겁니다.
뭐, 그분들은 그냥 오케스트라 불러서 홀에 가셔서 녹음하세요.
좋은 게 좋은 거니까.. ^-^;;